라임쥬서 (Lime Juicer)830 안전 외면하다 결국 강제 수거된 ‘공유형 전동킥보드’ 안전 외면하다 결국 강제 수거된 ‘공유형 전동킥보드’ 부산 수영구는 지난달 28일 광안리해수욕장과 광안역 인근에 방치된 라임 150대를 수거한 후 라임 측에 과태료 1회 상한금액 150만 원을 부과했다. 또 이에 앞서 해운대구도 올해 여러 차례 라임 소유 전동킥보드를 모두 405대 회수해 총 71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부산진구도 최근 주차장 입구를 막고 있는 라임 제품 5대를 수거하고 과태료 8만 원을 매겼다. 현재 다른 지자체들도 전동킥보드로 인한 민원이 접수되면 곧바로 강제 수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지자체들이 전동킥보드를 수거하는 것은 보행자의 안전 때문이다. 전동킥보드가 인도와 도로에 아무렇게나 방치된 채 관리가 되지 않다 보니, 안전사고와 관련한 민원이 끊이질 않고 있다. 실제로 수.. 2020. 11. 11. 3년만에 사고 40배 늘었는데… 전동 킥보드, 다음달부터 규제 대폭 줄어 3년만에 사고 40배 늘었는데… 전동 킥보드, 다음달부터 규제 대폭 줄어 전문가들은 전동 킥보드 판매 업자의 책임감 있는 시설 관리와 킥보드 이용이나 사고 경각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박무혁 도로교통안전공단 교수는 "이번 도로교통법 개정안은 교통 안전보다는 편의에 치중된 법률"이라며 "전동 킥보드 판매업자나 대여업자가 사용자에게 이용 규칙이나 주·정차 방법 등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권고 이상의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교통 안전 교육이 반드시 선행돼야 하고, 전동 킥보드가 자주 다니는 길목에서 공무원들이 안전에 대한 계도를 하는 것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아직 시행까지 한 달이 남았으니 지금이라도 교통 안전에 대한 정책적인 협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출처 : bi.. 2020. 11. 11. 전동킥보드 빔모빌리티, 지역경제·상권 살리는 '빔 부스터' 론칭 전동킥보드 빔모빌리티, 지역경제·상권 살리는 '빔 부스터' 론칭 빔모빌리티(Beam Mobility)는 지역 경제 및 소상공인들의 상권을 활성화시키고 매장 방문객 증대를 통한 매출 증대에 기여하기 위한 소상공인 상생 프로그램인 '빔 부스터 프로그램'을 국내에 처음 선보인다고 13일 밝혔다. '빔 부스터 프로그램'은 소상공인의 가게 앞 유휴공간을 주차공간으로 활용하는 대신, 매장을 무료로 홍보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빔 이용자들이 해당 매장 앞 추천 주차구역에 빔 킥보드를 주차할 경우, 킥보드 이용 종료 화면에 매장 광고가 송출되며, 빔 이용자에게는 포인트와 프로모션 코드 등의 혜택이 각 지역별로 주어진다. 전동킥보드 킥고잉 (Kickgoing) - 킥스팟 (KickSpot) 신청하기 전동킥보드 킥고잉 (Ki.. 2020. 11. 11. 이전 1 ··· 5 6 7 8 9 10 11 ··· 277 다음